본문 바로가기

주식27

한국 증시 저평가 요인 흔히 얘기하는 코리아 디스카운트 요인은 아래와 같을 수 있다...너무 많은데...? 라는 생각이 들겠죠 우리는 그럼 무얼 할 수 있고 이것들을 어떻게 극복할 수 있을까...밸류 재평가에 대한 얘기는 계속적으로 나오고 체제 개선에 대한 얘기들도 나오지만실제로는 진행되지 않고 있다.. 그래서 우리는 그나마 대책을 찾기 위해서주주환원이 높은 회사들을 찾아서 나름의(?) 국내 주식 배당주 투자를 하지만...미국 주식을 생각하면 영... 2024. 5. 15.
주식 공매도 금지 검토 또? 주식 공매도를 한시적으로 금지하는 것에 대해서 검토한다는 이야기가 있다. 정부가 한시적으로 공매도를 전면 금지하는 방안으로 이번에 공매도 금지가 시행이 된다면 역대 4번째이다. 기관투자자 대상 공매도 제도가 도입된 건 1996년 9월이다. 공매도가 건전하게 정상적으로 작용을 한다면 좋은 제도라고 생각하지만, 무차입 공매도 등 다양한 부적절한 방법으로 인해서 국내에서는 공매도가 안 좋은 것으로 인식되는 경향이 많다. 시장의 건강 측면에서는 공매도는 필요하다고 생각하지만 현재는 기관투자자 대상으로만 공매도가 진행되었기에 ‘기울어진 운동장’이라는 표현으로 많이 이야기하였었고, 지금은 개인투자자도 ‘개인 공매도 사전의무교육’을 이수함으로써 ‘대주서비스’를 활용한 공매도를 시행할 수 있게 되긴 했습니다. 그래도 .. 2023. 10. 27.
아시아증시는 어디로? 국제경제 위기인가 오늘 오전부터 아시아 증시는 파랗게 물들었다. 외국인들이 선물시장에서 매도로 방향을 잡으면서 코스피지수 낙폭이 확대되고 있고 아시아 증시는 전체적으로 하락... 전체적인 원인은 아무래도 이스라엘-팔레스타인 전쟁의 여파가 국제적으로 커지고 있는 것 아닐까?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은 원유생산지는 아니지만 사우디와 중동국가들의 산유정책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상황이라고 한다. 지금 세계는 유가가 90달러를 돌파하는 것 아닌지에 대한 걱정이 많은 상황이다. WTI유는 아직 86.44달러이지만 브렌트유는 90.98달러 유가는 점점 더 상승할 것으로 보이지만 앞으로의 방향성이 더 중요하지 않을까 과거에 WTI유는 100달러를 돌파했던 적도 있었다. 유가가 엄청 높아서 화학관련 분야업종은 원유 수입부터 엄청난 피해를 보.. 2023. 10. 16.
23년 3분기 삼성전자 실적공시 모두가 기다리고 궁금해하던 삼성전자의 실적공시 결과는 ?? 23년 3분기 매출액은 67조원 (전기 대비 11.65% 증가지만..?) - 전년 동기 대비 12.74% 감소 23년 3분기 영업이익은 2.4조원 (전기 대비 258.21% 증가지만??) - 전년 동기 대비 77.88% 감소 ... 전년 동기대비해서 이렇게나 많이 감소했다고? 매출 차이는 크지 않았지만 영업이익이 특히? 매출액은 컨센서스 하회이지만, 영업이익은 상회라고 한다. 영업이익은 더 낮을 것으로 예상했다고 하는데... 메모리쪽에서 적자 폭이 컸던 것으로 보이는데, 원가 상승으로 실적 개선의 여지가 보이고, 선 투자의 결과물이 24년부터 실적으로 나올 것으로 기대가 되어서 현재가 저점이다는 의견이 많은 것 같다. 또한, 실적 발표 이후에 삼.. 2023. 10. 11.
인슐린펌프 기대주 미국 법원에서 판매금지?? 국내 인슐린펌프 개발 기업인 이오플로우가 미국에서 판매금지 가처분을 받았다. 미국에서 특허소송이 끝날 때까지 인슐린 펌프 ’이오패치‘에 대한 판매 및 제조, 마케팅을 금지당한거라고 한다. 이오플로우, 인슐린펌프 못판다...美 법원서 판매금지 가처분이오플로우, 인슐린펌프 못판다...美 법원서 판매금지 가처분, 코스닥, 이오플로우 주권매매거래 정지www.hankyung.com 이유는 해외 지적재산권 침해 및 부정경쟁 소송으로 인한 가처분 미국의 대표 인슐린펌프 제조기업인 인슐렛과 특허 소송 완료 전까지는 아무것도 할 수 없는 상황이 된 것이다. 세계에서 두 번째이지만 인슐린펌프 개발은 엄청난 주목을 받고 있었고, 중국까지도 시장 확대가 같이 이뤄지면 엄청난 가치 상승을 기대해볼 수 있는 상황이었다. 인슐렛 .. 2023. 10. 11.
세계 브랜드 가치 TOP100 - 애플, 테슬라, 삼성은 몇위? 브랜드 가치 상위 Top 10을 확인해 보면 아마존, 애플,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월마트, 삼성, ICBC, 버라이즌, 테슬라, 틱톡이 있고 국내기업인 삼성이 6위에 위치해있다. 분야별 주도 섹터는 테크 분야가 19.4%로 가장 주도하는 분야로 확인할 수 있다. 브랜드 가치 상위 top10에 대부분의 기업이 Tech 기업인걸 알 수 있듯이 기술 발전과 그 분야의 점유율이 압도적인 것을 느낄 수 있다. 애플(AAPL) 애플은 23년 3분기부터 매출 증가율이 다시 상승하면서 EBITDA의 상승까지 전망하면서 앞으로의 상승 전망을 볼 수 있다. 테슬라(TSLA) 테슬라의 매출액도 23년 3분기 이후부터 소폭이지만 상승하는 전망을 가지고 있고, 전기차 시장에서 압도적인 1위의 점유율을 가지고 있기에 테슬라가 .. 2023. 8. 11.